90세를 넘긴 나이에도 불구하고 765,000kV의 거대한 송전탑과 맞서 싸운
김말해 할머니 투쟁의 시작은 한국전쟁이었다.
한국전쟁 발발 전후 국가에 의해 은폐된, 민간인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무차별하게 학살당한 사건.
김말해 할머니와 또 다른 김말해‘들’은 이 사건으로 가족을 잃고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정확한 피해 규모도, 희생자 수도 알 수 없는 상황.
한국전쟁 정전 70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그들의 시간은 멈춰있다.
그리고 국가 차원의 유해 발굴을 주도하던 진실화해위원회가 해체되자,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공동조사단을 꾸려 그들을 찾아 나선다.
“직업도, 배경도 다른 우리의 공통된 목표는 오직 하나.
인간을 구성하는 206개의 뼈를 가족의 품으로 돌려주는 것입니다”
국가가 은폐한 진실을 찾아 나선 시민 발굴단의 기록
<206: 사라지지 않는>
연출의도
지난해 인터넷상에서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회자되었던 유행어 중 하나인 '중꺾마'(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에 왜 열광했을까? 아마도 현실에서는 일어나기 힘든 기적 같은 이들이 우리 삶에 나타나 주길 바라는 마음 때문이었을 것이다.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의 무모한 여정이 또 다른 '중꺾마'를 대표한다고 생각한다. 70년 전 의문의 죽임을 당하고 우리 곁에서 사라져버린 사람들을 끝끝내 찾아내고야 말겠다는 그들의 발굴 여행은, 관객들에게 현실에선 상상하기 어려운 또 다른 기적과 감동의 한 순간을 선사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