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병변 장애를 앓고 있는 재년(애칭 제제)과 우영(애칭 노인네). 띠동갑 나이차를 극복하고 만남을 시작한 지 어언 8년. 이젠, 그녀를 바래다 주지 못하는 미안한 마음을 벗어 던지고, 그를 배웅해야 하는 아쉬운 헤어짐을 끝내고 싶다! 그러나, 미처 몰랐다. 결혼이 이렇게 어려운 것인 줄. ‘내가 다 책임질게. 오빠만 믿으라’는 우영의 프로포즈가 거듭될수록 제제의 고민은 깊어져 갔다. 험한 세상에 덜컥 둘만 남겨진 기분. ‘남편과 아내’로 규정되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부담은 점점 커져만 갔고, 주변의 우려 섞인 시선은 공포로 다가왔다. 과연, 제제와 우영은 결혼에 성공할 수 있을까?
연출의도
모든 인간의 삶에서 출발점은 자신의 의지에 따른 선택이 아니다. 의지와 다르게 선택 받은 삶에 대해 누구나 자유로운 자신만의 일상을 소유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여성과 남성, 장애인과 비장애인이라는 규정 속에서 살아간다. 이러한 구분은 차이를 동등한 다름이 아닌 우월과 열등, 정상과 비정상의 위계화 된 이분법의 틀에 놓았고, 남성과 비장애인은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스스로를 ‘정상’이라 규정했다. ‘정상’이라 규정한 이들은 그 권력을 활용해 '정상신화'를 창조했고 ‘비정상’이라 규정 당한 이들을 억압하고 배제하면서 통제해왔다. 억압과 배제, 통제의 가장 강력한 이데올로기는 ‘가부장제’이다.
가부장적 관습은 결혼 이후 여성에겐 가사 노동과 출산, 양육을 강요했고, 남성에겐 경제 활동을 통해 가족 부양책임을 부여해, 이를 ‘정상 가족’이라는 허울에 담아놓았다. 마치 이렇게 구분 지어진 성 역할이 ‘정상’인 것처럼 포장된 사회에서, 모든 남녀는 결혼제도 앞에서 각자에게 부여된 역할에 대한 부담으로 숨이 가빠올 수밖에 없다.
<나비와 바다>는 ‘비정상이라 규정된 삶’을 살고 있는 두 사람의 결혼 과정을 따라가면서 두 사람을 바라보는 비장애인의 시선과 가부장의 허울에 갇힌 결혼제도의 폭력성을 가부장 스럽게 담아낸다.
영화제 상영 및 수상작
2011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 – BIFF 메세나상 수상
2012 제13회 장애인영화제
2012 제8회 대만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Taiwan)
2013 제4회 부산평화영화제
2013 제4회 중국시안국제민속영상제 (China)
2013 SBS ‘장애인의 날’ 특선영화 방영